본문 바로가기

건축

(11)
[구조]브레이싱을 거는 이유가 뭘까? *브레이싱 브레이싱은 구조의 각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한다. 즉 횡력을 잡아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브레이싱 말고는 어떤 방법으로 횡력을 잡을까? 1.Rigid Structure 사용 - 강구조를 사용하 안흔들게 한다. 비용이 가장 비싸며 결국 변형이 일어난다. 2.수평 수직 가벽 설치 - 중간에 끼어넣어서 안흔들리게 하는 시스템이다. 3.브레이싱 - 가장 저렴하며 효과가 좋다. 이유는 브레이싱은 압축재가 아니라 인장재이기 때문이다. *부재의 특성마다 가격차이가 난다? 인장재
건축 허가와 실시의 차이 1. 허가와 실시의 차이 허가 - 법을 지켜서 공무원을 보여주기 위함 실시 - 시공사 및 건축주 공사비 책정용 도면 2. 후레싱이란? 물이 건물에 침투하지 않게하는 물리적 도구 3.차수판과 방수계획도의 방수랑 차이는 뭘까? 차수판은 물리적인 방법 방수계획도의 방수는 화학적 방법 4.트렌치란? 건물 내에 설치하는 물 도랑
창문 틀은 대체 어떻게 그려지나? 오늘 창호평면도와 입면도를 작성하였다. 깨달은 것은 내가 창문을 얼마나 대충 알고있는지에 대한 사실이다. 프레임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에 대한 고민을 거의 해본적이 없다는 사실을 건축 실무한 지 3년이 넘어가는 데 아직도 속시원하게 알지 못한다. 미서기창은 창문이 움직여야하므로 프레임과 레일이 있다. 픽스창은 그냥 창문이 고정만되면 되므로 60mm 프레임에 붙는다. 오늘 입면도 치면서 궁금했던 점은 저 미서기와 픽스창이 공유하는 60mm 프레임이 미서기창도 잡고 픽스 창도 잡을 수 있는지 였다. 팀장님 왈에 따르면 같은 회사의 같은 제품군이라면 충분히 가능 할 것이라고 하셨다. 또한 의문이었던 점은 동쪽과 서쪽의 창문 와리가 왜 맞아야하는지이다. 이건 정말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다. 건물이 거의 32M이고 ..
철재 구조 관련 기록 철재계단을 모델링중이다. 지붕 모양이 안예뻐서 이래저래 변경중이다. 변경 중 배운 점을 기록해보고자 한다. 1. 내가 안예쁘다고 흠칫 생각이 들면 보통 내 상사도 안이쁘다. -분명 전 날엔 괜찮다고, 너가 맞는 것 같다고 했다. 그래서 나 또한 기분이 좋았다. 하지만 그날 작업을 하면서 문뜩 '뭔가 안이쁜데..? 스케치로 그린 것 보다 별론데..?'하는 생각이 스쳐지나갔다. 하지만 상사가 좋다고했으니 그냥 쿨하게 진행하였다. 하지만 다다음날 자기가 생각해보니 조금 안이쁜것같다고 이야기를 하셨다. -이것은 정말 높은 확률로 적중하고 있는 이론으로 정림을 다닐때도 지금 여기를 다닐때도 어느정도 디자인 감각이 있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이쁘진 않다'라고 피드백을 준다. -그렇다면 이것을 느낀 그 즉시 작업을 중..
라이노 트윈모션 사용팁 1. 라이노의 레이어를 잘 정리하자. 빔 기둥 슬라브 외벽 내벽 1층 내벽 등등 구분을 세밀하게 해놓자 2.트윈모션으로 라이노 .dae 이나 .datasmith 을 넣기 전에 라이노 안에서 재료분리를 해놓자. 트윈모션은 모든 동일재료 객체를 하나로 만들어 버린다 (용량에 그게 유리하다고 한다. 물론 객체 유지기능은 있지만 큰 버벅임을 불러온다) 3.트윈모션에는 라이노를 제외한 다양한 파일들이 잘 꽂힌다 (스케치업 레빗 등등) 각 툴의 장점을 살려 트윈모션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4.트윈 모션를 트윈모션에 임포트가 안된다. 머지를 시켜야한다. 근데 머지를 하고 나니, 임포트 파일에서 더 이상 리로드 기능이 사라져 버리는 오류가 생긴다.( 첫 작업이 그랬음 ) 왜 그런지 모르겠다. 5. 처음 작업할 때 나중 ..
QGIS QGIS 원본 지적도 살리면서 원하는 부분 추출하기 (레이어 사용) https://m.blog.naver.com/www254/221525328161 지적도 다운로드 02_QGIS 사용법 1편에 이어서 2편에서는 QGIS 프로그램 사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편에서 설명한 대로 QGIS 프로... blog.naver.com (잘 설명해놓으셨으니 보고오자) 이분 방법대로 하다보면 의문이 하나 들었다.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을 지우는데 꽤 오랜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그럼 다른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다가 찾은 방법을 기록한다. 이런식으로 원하는 것을 선택한다음. 편집 안에 들어가면 객체복사가 있다. 일단 복사를 한뒤, 다시 편집창에서 임시스크레치 레이어를 누르거나, CTRL + ALT + V (임시스크래치 레이어)를 입력해보자. 그럼 레이어가 하나 생긴다. 포토샵 레이어 키듯이 ..
QGIS 지적도 딸때, 여러개 선택하는 방법 더욱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링크의 블로그 분이 굉장히 잘설명해놓으셨다. 잘 따라하다가 https://m.blog.naver.com/www254/221523277167 지적도 다운로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지적도 다운로드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거예요. 사진 캡쳐 후 손으로 일일이 ... blog.naver.com "아..? 만약 선택하고 싶은 필터가 여러개면 어떻하지? 할때 쓰면된다. " 결론: 위 그림처럼 OR 을 사용하면 된다. 필자는 두개의 동을 선택해서 캐드로 가져가고 싶었다. 옛날 수학 집합시간 마냥 AND는 교집합을 뜻해서 아무리해도 결과값이 나오지 않았다..ㅠㅠ (직관적으론 죽도동 "과" 상도동을 선택해줘라 라고 파악되는데 아니었다) 파이선을 잘하시는 분이라면 이런 시행착오를 안겪었을꺼라..
백년다리(한강대교 공중보행길) 관련 스태프 알바를 하면서 느낀점. 공모 제목백년다리(한강대교 공중보행길) 조성 설계공모공모 범위 서울 용산구 이촌동 304-11 구역1- 한강대교 남단 아치교 사이 (폭 10.5m미만, 길이 500m이상) 구역2- 노량진북고차도 존치구간 및 주변지역연계 백년다리 프로젝트는 예정 공사비 300~500억정도에 달하는 거대한 프로젝트이다. 다리라는 것은 한번 지어지면 거의 100년은 물론(그래서 백년다리이다.) 몇백년은 지속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이다. 심사는 기술심사 --> 1차심사 --> 2차심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1. 기술심사_안전을 최우선으로 작품들의 상중하를 체크한다! 기술심사에서는 아무래도 기존의 한강대교위에 구조를 올려 공중보행데크를 짓는 것이므로 안전이 최우선이다. 그리고 그 안전을 책임지는 것은 바로 시공방법! 한강대교는 총 ..